한태호 집사 (엘림샘 보아스 나무) 고등학교에서 생물 수업 시간에 진화론을 열심히들 배우지요 . 하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으로 진화론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 주일에 교회에서 창조론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나면 진화론은 더욱 이해하기 힘든 이야기가 되죠 . 일부러 생물 교과서에서 진화론을 이해하기 힘들게 만들어 둔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마저 드는데 저는 오늘 진화론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 다윈이 진화론을 세상에 가져온 것은 ‘ 종의 기원 ’ 이라는 책을 통해서입니다 . 다윈은 이 책을 여러 번 수정하면서 조심스럽게 진화론의 문을 열었습니다 . 그리고 진화론의 문을 확실하게 열어 준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우장춘 박사입니다 . 우장춘 박사는 ‘ 종의 합성 ’ 이라는 논문을 세상에 알리면서 진화론을 쉽게 설명했습니다 . 우장춘 박사는 일본인이었지만 한국인이었던 아버지의 빚을 갚는다는 생각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사람들에게 맛있는 배추와 육종 기술을 전수해 주었습니다 . 그분의 업적을 살펴보면 배추과 식물들에서 이종 간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종이 합성된다는 것을 밝혀냈고 , 그것을 통해 진정한 진화론의 종결자가 되었습니다 . 그 분의 이론 중 U’s triangle 이론이 유명합니다 . U’s triangle 이란 , 예를 들어 배추과 식물에서 종이 서로 다른 배추와 양배추는 원칙적으로는 종자가 전혀 생기지 않는 관계인데 , 진화의 상황에 따라 ‘ 배추 ( Brassica campestris )’ 와 ‘ 양배추 ( Brassica oleracea )’ 가 섞여 새로운 종 이 만들어지는 것을 밝혔고 이 새로운 종이 바로 ‘ 유채 ( Brassica napus )’ 입니다 . 동물로 따지자면 ‘ 호랑이 ( Panthera tigris )’ 와 ‘ 사자 ( Panthera leo )’ 사이에서 가끔 자손이 나와 ‘ 라이거 (Liger)’ 가 만들어지는 이치입니다 . 단지 지금은 라이거가 너무 적은 숫자로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