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목회이야기 20220327 不是一番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


 

마음이 자꾸 조급 해지려 합니다.

연일 계속되는 일만 명이 넘는 광주시 코로나 확진 수를 보면서도 이제는 코로나가 끝나기를 기다리기 보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 우리의 신앙의 삶을 회복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상황이 좋아질 때를 기다리는 것이 옳은지 아니면 어려운 상황이지만 소중한 신앙의 삶을 지키고 회복하기 위해서 마음을 모으고 지혜를 모아 다시 한번 새로운 시작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지난 2년 동안 코로나의 어려움 속에서 개인의 신앙과 교회 목회를 지켜내는 방식은 위기를 기회로 였습니다. 우리가 원했던 상황은 아니지만 이 상황을 이용해서 우리의 부족했던 부분을 잘 보완하자는 취지 입니다.

큰 틀로 세가지 였죠.

-주일 중심의 신앙을 삶으로 확장시켜 매일의 삶 가운데 신앙의 뿌리를 내리도록

-교회 중심의 신앙생활을 가정과 일터, 개인의 삶의 자리에서 신앙의 일상이 이루어지도록

-목회자 의존적인 신앙을 주님을 삶의 자리에서 만나는 의지적 신앙으로 세워갈 수 있도록

 

이 세가지 목표를 갖고 교우들의 전인적 신앙생활을 위해 노력한 기간들이었습니다.

-Daily Bread는 그런 마음에서 만들어진 좋은 열매 입니다.

교인들 뿐 아니라 신앙생활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삶의 자리에서 주님의 말씀을 묵상하고 우리의 기도로 신앙의 바탕을 잘 조율해가는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교회 안에 온라인 목회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어려움 중에 얻은 유익함 입니다.

인디고 하우스 3층에 온라인 스튜디오를 마련하였고, ZOOM 이나 YOUTUBE 같은 온라인 공간 안에 예배를 드리고 교제를 나눌 수 있게 된 것은 코로나 상황 뿐 아니라 점점 분주해지고 복잡해지는 상황 속에서 복음의 나눔과 삶의 교제를 할 수 있는 고마운 경험이 되었습니다.

-장로님들과 가정교회 목자들의 활약이 돋보였습니다. 갑작스럽게 맞닥뜨린 코로나 상황 속에 때와 상황에 맞는 적실함으로 교회의 필요와 교인들이 삶을 돌보기 위해 온 마음을 다해주신 장로님들과 코로나의 두려움(?)을 뚫고 제 맡은 역할을 다 해 준 예배 위원, 재정부 그리고 가정교회 목자들 덕분에 어려운 시간들을 잘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물론 목회자들의 수고는 그저 고마울 따름입니다.

전혀 다른 상황에서 교회 학교와 청년부 그리고 교인들의 삶의 자리를 돌보는 귀한 역할에 마음을 다해 주었습니다.

 

교회 공동체는 주님을 머리 삼아 함께 지체 되어 섬기는 아름다운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어느 누군가는 눈과 귀의 역할을 해야하고 어느 누군가는 손과 발의 역할을 어느 누군가는 보이지 않은 혈관도 되고 근육도 되고 오장육부 장기도 되어야 합니다.

바울 선생님의 말씀처럼 소중하지 않은 부분이 하나도 없고 모두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데 요긴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교회가 좋습니다.

그래서 교회가 아름다운 공동체 입니다.

 

이제 그 공동체를 다시 세워가야 하는 때가 되었습니다.

아직 겨울이 남아 있지만 봄 맞이를 해야하는 것처럼 아직은 이런 저런 염려가 있지만 하나 둘 우리 교회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마음을 모아가면 좋겠습니다.

4월 첫주부터는 거룩한 식탁 준비하여 성찬예배를 드리고 417일 부활주일에는 찬양대의 찬양도 부활하려 합니다. 411일부터 한 주간은 삶으로 담아내는 십자가라는 주제로 66색 고난주간 새벽예배를 대면으로 용기 내어 가져보려 합니다.

 

함께 마음을 모아 주시고, 힘을 모아주시기 바랍니다.

공간은 좁아졌지만 신앙의 저력과 믿음의 견실함으로 우리 교회 공동체를 다시 세워가는 일에 정성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말에 不是一番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불시일번한철골 쟁득매화박비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매화는 뼈에 사무치는 추위를 겪어야 비로소 코를 찌르는 향기를 얻게 된다."는 뜻이랍니다.

 

코로나, 어려운 시간을 지나온 성숙함과 영근 신앙으로 아름답고 찐한 향기를 내는 우리 교회 공동체가 되기를 기도하고 기대합니다.

 

매화가 좋은 계절에

김의신 목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리들의 이야기 20240707 (박덕환 집사)

  안녕하세요 ? 성령샘 겸손나무 박덕환 집사 입니다 . 저는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 어머니는 목사님의 딸이셨고 , 병원에 입원하지 않는 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새벽기도를 빠지신 적이 없었습니다 . 어릴 적 , 잠에서 막 깨어날 때 어머니의 기도 소리와 함께 얼굴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 그것은 새벽기도에 다녀오신 어머니가 제 머리에 손을 얹고 기도하시며 흘리신 눈물이었습니다 . 교회가 딱히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 제가 교회에 잘 출석하면 어머니가 기뻐하시니 빠지지 않고 다녔습니다 . 교회에 잘 다니는 것이 어머니에게 효도하는 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저는 한국전력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 처음 입사했을 때 순천지사로 발령을 받았는데 , 그곳에 직장선교회가 있었습니다 . 매주 수요일 목사님을 모시고 예배를 드렸는데 , 지사장님이 참석해서인지 전체 직원 중 20% 정도가 예배에 참석했습니다 . 또한 , 1 년에 한 번 근로자의 날에는 서울이나 대전에 있는 대형교회에서 전국에 흩어진 선교회 회원들이 연합예배를 드렸습니다 . 연합성회에 모인 규모도 천명 이상 되는 제법 큰 집회였습니다 . 그러나 코로나 기간 연합성회도 온라인으로 대체되고 , 열심히 선교회를 이끌던 선배들이 퇴직하면서 요즘에는 직장 선교회 회원들도 많이 줄어 회사 내 거의 대부분의 사업장 선교회 모임이 사라지고 저희 본부도 회원 수가 많이 줄어든 상황입니다 .   2 년 전부터는 제가 광주전남지역 직장선교회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 매주 수요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회사 내 북카페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 목사님을 모실 여건이 되지 않아서 말씀은 데일리브레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인적사항 종교란에 기독교라고 기재한 직원들에게 메일을 보내 ‘ 매주 수요일 예배가 있으니 같이 예배드리자 ’ 고 했습니다 . 메일을 보낸 사람들 중 절반 정도는 예배에 참석하고 있습니다 . 회사 내에 교회 다니는 사람들이 좀 있지만 , 같이...

우리들의 이야기 20241020 (김재형 집사)

  장모님의 유산   엘림샘 (55+) 노아나무 김 재 형 집사   삶의 여정에서 우리는 때때로 길을 잃고 혼란스러워집니다 . 하지만 그 속에서도 하나님의 사랑은 언제나 변함없이 우리를 감싸주셨음을 느낍니다 . 저는 결혼 전까지는 교회와 인연이 없었고 , 결혼 후에도 한동안 교회를 멀리하며 고집을 부렸습니다 . 그러다가 어느 일요일 , 아내와 어린 딸들까지 모두 교회에 가고 텅 빈 집에 혼자 남겨졌을 때 , 커다란 적막감과 불안감이 엄습해왔습니다 . 결국 , 사랑하는 가족을 따라간 그 걸음이 나를 예배의 자리로 이끌었고 , 세월이 흘러 어느덧 신앙이 내 삶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   오늘날 신앙생활을 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은 바로 저의 장모님 , 지금은 하늘나라에 계신 그분의 깊은 신앙심과 기도의 힘 덕분입니다 . 저희 부부의 맞벌이 때문에 장모님께서 가까이 살면서 아이들을 돌봐주셨고 우리 가족은 자연스럽게 장모님이 다니시는 교회에 나가게 되었습니다 . 그분이 생전에 우리 가족을 위해 드리셨던 간절한 기도가 지금도 우리 가족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찬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니 그분에 대한 그리움이 더욱 커져만 갑니다 . 장모님은 살아계실 때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새벽 기도를 빠지지 않으셨고 , 주일에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예배를 우선시하셨습니다 . 주일에 쌀이 떨어져도 사지 않으셨고 , 친척 행사에도 참여치 않으셨습니다 . 이런 철저한 주일성수 때문에 살아생전 가족들과 여행 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했습니다 .   저의 큰아이와 둘째 아이는 어릴 때부터 외할머니를 따라 심방을 다니며 자연스럽게 신앙을 키워가기 시작했습니다 . 심방에 거의 빠지지 않고 다니다 보니 교인들은 저의 아이들을 ‘ 어린이 심방 대원 ’ 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 덕분에 어릴 적부터 믿음이 깊었던 것 같습니다 . 한번은 둘째 아이가 다섯 살 때 의자에서 떨어져 왼팔이...

우리들의 이야기 20240915 (김용석 집사)

Healing Point 엘림샘 보아스나무 김용석 집사 안녕하세요 . 엘림샘 보아스나무 가정교회 김용석 집사입니다 . 저에게는 기쁨과 행복을 주는 힐링 포인트가 있습니다 . 제 손녀입니다 . 김다연 . 이 아이를 소식을 들었을 때는 지난 2019 년 가을 무렵 . 그리고 설렜던 2020 년 만남은 그동안 기다려온 선물을 받은 기쁨이었고 행복이었습니다 . 꼼지락거리는 생명을 품고 웃어주는 손녀의 눈 . 너무나 큰 기쁨이며 조건 없는 즐거움이었습니다 . 그 아이가 벌써 5 살이 되어 유치원을 다니고 제 생일 때는 축하 카드도 선물하기도 하고 ... 하루하루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기특하고 대견할 뿐 아니라 저에게는 근심걱정을 잊게 해 주는 크나큰 위안이기도 합니다 . 하나님의 창조 세계에서는 이러한 감성들로 교감하는 듯합니다 .   저는 서울태생으로 대학 시절 다니던 교회에서 착한 여자를 만나 결혼하고 1996 년 사업상 광주에 정착하였습니다 . 젊은 시절에는 서울태생 사람들처럼 머릿속에 시간을 심어놓고 논리적이며 분석적 , 계획적으로 행동하면서 나름 평탄하게 살아온 듯합니다 . 그러나 뒤돌아보면 ... 굴곡이 있을 때마다 더 깊게 넘어지지 않고 버티고 지나온 듯합니다 . 살아갈수록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의 기적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 생각하고 깨달아갈수록 주위의 모든 것이 얼마나 기적적이며 형언할 수 없는 조화로운 순리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지 새삼 감탄하면서 생명과 삶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 그러면서도 그 안에서 죄로 인해 왜곡된 세상도 경험하게 됩니다 . 순리적인 창조 질서와 왜곡된 굴곡 사이에서 살아가는 듯합니다 . 세상에서 욕심과 집착으로 자신을 꾸며가려는 모습을 자주 맞이합니다 . 성취 , 인정 , 만족을 얻으려 집착하는 모습들과 원치 않은 결과로 인한 괴로움들로 점철된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 그러다 어느 때부터는 간헐적인 망각의 순리에 감사함을 느끼며 또 어느 때는 고마운 힐링의 장면을 연상하면서 행복을 찾곤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