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로서 장례식을 수 없이 집례해보았지만 내가 유족이 된 장례식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 물론 할아버지 할머니의 장례식에서는 장손이라 영정도 들고 장례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함께 하긴 하였지만 장례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그리 깊게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 이번에 처 아버님의 장례를 보면서 든 몇가지 생각들 입니다 . 처음 생각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맞는 장례 예식입니다 . 우리나라 장례 예식이 불교와 유교 거기에 내려오는 민속 전례에도 뿌리 내리고 있어서 그리스도교 신앙에 맞는 장례 예식을 드리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 사흘을 장례 기간으로 잡는 것부터 빈소 차림 , 입관 , 조문객을 맞이하는 모습도 그렇고 예배를 드리는 것도 좋은 장례 예전이 정해져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 이민목회에서 제가 경험한 장례는 기독교 문화권인 캐나다의 장례법과 우리 민족의 장례 문화가 섞여진 장례여서 또 다른 독특함이 있었습니다 . 하이 페밀리의 송길원 목사님이 나름 열심히 연구하고 좋은 모범을 만들고 있다하니 기대하고 있습니다 . 좋은 그리스도교 장례법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 두번째 생각은 나의 장례식에 대해서 입니다 . 고바야시 구니오는 자신의 책 < 힘 있게 살고 후회 없이 떠난다 > 에서 우리에게 묻습니다 . ‘ 사람들은 죽을 줄 알면서 왜 죽을 준비를 하지 않는가 ?’ 지난 장인어른의 장례를 치루면서 자연스럽게 나의 장례식에 대한 생각도 해보게 되었습니다 . 물론 지금은 건강하고 아직 죽음을 생각할 나이 ( 죽음을 생각할 나이가 따로 있을까요 ) 가 아니라고 하지만 건강할 때 내 죽음을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든 것입니다 . 여기에서 말하는 준비는 영정 사진이나 장지나 유산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또한 준비 해야겠지만 … 지난 주일 설교를 준비하면서 가장 깊게 생각한 ‘ 선한 삶의 위로 ’ 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