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제가 된 문형배 헌법재판관 , 그리고 청문회 때 자신이 김장하 장학생임을 스스로 밝히며 " 내게 고마울 필요가 없다 . 나도 이 사회에서 받은 것이니 갚으려거든 이 사회에 갚으라 " 라고 하신 김장하 어른의 말씀을 살아오며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 . 어른 김장하 , 담임목사님의 설교에서 언급해주셨던 분 , 그냥 그렇게 기억하고 있었던 저는 최근 다시 한번 ‘ 어른 김장하 ’ 다큐멘터리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 그분의 말씀을 실천하는 것을 유일한 잣대로 두고 살아낸 분도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고 , 그 뒤에 묵묵히 진심으로 도와주신 김장하 선생님의 겸손한 성품과 철학은 정말 묵직한 감동으로 다가왔습니다 . 요즘 같은 삭막한 시대에 , 김장하 선생이 보여준 ' 어른 ' 이란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 어른의 사전적 의미는 ‘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 ’ 이라는 뜻입니다 . 그러나 우리 어른들에게도 어른이 필요하다는 말처럼 우리 사회를 지탱해 줄 , 따스한 빛으로 받쳐줄 개인을 넘어 사회에 대한 책임감으로 뜻이 있는 큰 어른 , 좋은 어른이 필요한 사회이기에 단순히 어른이라는 뜻만으로 다 어른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 특히 , 마지막에 부분에 산을 오르며 좋은 멘트를 추천해 주셨는데 , ‘ 사부작사부작 꼼지락꼼지락 ’ 가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 그렇게 걸어가면 된다고 말입니다 . 우리에게 주는 응원의 말 같습니다 . 우리들 또한 선한 길을 묵묵히 , 끝까지 함께 가면 좋겠습니다 .